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2

빚을 져야만 사는 시대, 가계부채와 경제 요즘 누구랑 얘기하다 보면 꼭 한 번은 나오는 말이 있다. “야, 대출 얼마나 남았냐?” 혹은 “아… 금리 좀만 내려줬으면 좋겠다.” 슬프게도 이제 빚은 그냥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 전반의 공기처럼 퍼져 있는 일상적인 압박이고, 더 심각하게 말하자면, 한국 경제 자체를 뒤흔들 수 있는 뇌관이기도 하다.가계부채. 말은 참 익숙한데, 그 안엔 참 많은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 누구는 집을 사기 위해 빚을 졌고, 누구는 학자금을 갚느라 허덕인다. 누군가는 카드 돌려막기로 겨우 생계를 유지하고 있고, 누군가는 사업이 망해도 빚만 남겨졌다. 그리고 이 모든 게 하나로 모이면, 경제의 아래에서 꿈틀대는 ‘불안’이 된다.숫자로 본 한국의 가계부채, 너무 많다2024년 기준으로, 한국의 가계부채는 약 1,800조 .. 2025. 7. 29.
최저임금이 오르면 정말 일자리가 줄어들까? 이 질문, 한번쯤 들어본 적 있으시죠? 특히 뉴스에서 최저임금 인상 소식이 들릴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논쟁거리입니다. 어떤 사람은 “알바라도 해야 먹고 살지, 월급이 너무 작아선 안 되잖아”라고 말하고, 또 어떤 사람은 “그렇게 올리면 사장들은 사람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말하죠.그러면 도대체 어디까지가 진실일까요? 어떤 주장은 감정 섞인 것 같고, 또 어떤 얘기는 숫자로 설명하니 그럴듯하게 들립니다. 하지만 결국 그 안에는 경제, 현실, 감정, 철학… 다 섞여 있는 이야기예요. 그래서 이 문제는 늘 ‘쉽지 않다’는 말로 마무리되곤 합니다.최저임금, 왜 필요했을까?먼저 이 제도의 시작부터 잠깐 짚고 넘어가야겠죠. 최저임금은 단순히 ‘최소한 얼마는 줘야 한다’는 법적 기준이에요. 이 기준이 생기기 .. 2025. 7. 28.
구조적 실업과 마찰적 실업. 일할 준비는 되어 있는데, 자리가 없다 실업이라는 말, 참 단단한 단어죠. ‘일이 없다’는 말인데, 막상 그 속을 들여다보면 단순하지 않습니다. 누구는 쉬는 중이고, 누구는 뛰고 있지만 자리를 못 찾고, 누구는 아예 방향을 잃은 채 멈춰 서 있습니다. 다 같은 실업이라고 뭉뚱그리기엔, 그 무게가 너무 달라요.내 친구 얘기부터 해볼게요. 대학 졸업하고 나서 바로 취업은 안 했습니다. 이 회사는 복지가 별로고, 저 회사는 출퇴근 거리가 멀다고 고민하다가 한 달, 두 달이 지나갔죠. 본인은 “쉬는 중”이라고 했지만, 사실은 실업 상태였어요. 이게 바로 마찰적 실업입니다. 지금 일하지 않는 건 맞지만, 이건 잠시의 공백이에요. 좋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틈’이랄까. 어떻게 보면 이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그런데 또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예전 직장에.. 2025. 7. 28.
실업률 3%? 그런데 왜 내 주변은 다들 힘들어 보일까 “실업률은 낮은데, 일자리 구하기는 왜 이리 어려운 거야?” 이 질문, 아마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뉴스에서는 “우리나라 실업률이 3%대로 안정적이다”라고 자주 나오죠. 수치만 보면 별문제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막상 내 주변을 돌아보면, 취업 준비생은 여전히 취업 걱정에 밤잠을 설치고, 자영업자는 매출 하락에 한숨이 깊어지고, 직장인은 하루하루가 계약 연장될까 불안한 상태입니다. 뭔가 이상하죠. 실업률은 분명 낮은데, 체감하는 현실은 팍팍하기만 합니다. 이 괴리감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숫자가 보여주지 않는 노동시장의 민낯먼저 ‘실업률’이라는 개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실업률이란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 중 실제로 일하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을 말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통계상.. 2025. 7. 27.
시장 구조의 양극단, 독점시장과 완전경쟁시장의 본질적 차이 현대 경제학에서 시장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며, 그중 가장 극단적인 두 유형이 바로 독점시장(monopoly)과 완전경쟁시장(perfect competition)이다. 이 두 시장 구조는 기업의 시장 지배력, 가격 결정 방식, 소비자의 후생에 있어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완전경쟁시장은 이론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경쟁 구조로서 수많은 기업이 존재하며,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고 정보가 완전하게 공유된다. 반면, 독점시장은 단 하나의 공급자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진입 장벽이 높고, 가격을 자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한된다. 이 글에서는 독점시장과 완전경쟁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사회적 효율성과 후생의 관점에서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심층적으로 .. 2025. 7. 26.
세금의 종류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설명 우리는 매달 급여를 받을 때마다, 혹은 물건을 살 때마다 어떤 형태로든 세금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런데, 정작 '이게 왜 빠져나가는 걸까?'라는 의문은 쉽게 넘어가곤 하죠. 세금은 단순히 국가가 걷는 돈이라고 하기엔 훨씬 복잡하고, 생각보다 우리 생활 깊숙한 곳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람들이 흔히 놓치기 쉬운 ‘세금의 종류’와 그로 인해 생기는 여러 경제적 효과들을 하나씩 살펴보려 합니다. 어려운 이론보다는 실제와 가까운 얘기 위주로 풀어보겠습니다. 세금은 어디서 어떻게 빠져나갈까?먼저 세금의 종류를 나눠보자면, 크게는 **직접세**와 **간접세**라는 두 가지 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직접세는 내가 낸다는 걸 뚜렷하게 인지할 수 있는 세금입니다. 소득세나 종합소득세, 법인세처럼 '이만큼.. 2025. 7. 26.